영농기술자료

토양 미생물

jss6674 2010. 4. 27. 23:19

토양미생물 :  수적으로 많은것 순으로 세균,방선균(더운 여름철 마당에 물을 뿌리면 올라오는 냄새).사상균(곰팡이)이 있다.

                   유기물을 분해하여 배설물로 균사와 같은 부설물을 내놓으면서 토양의 입단구조(떼알구조)를 만드는데 기여

                  탄질율 C/N 20:1 내외에서 가장 적합한 분해를 한다.

                  생볏짚의 경우는 탄소 42%,질소 0.63%로 탄질율이 67:1로서 미생물의 분해활동에 질소가 부족하여 식물체로 흡수되어야하는

                  비료성분중 질소성분을 빼앗아 질소기아현상을 일어킨다.볏짚 1톤당 요소 15Kg를 추가할경우 질소기아를 피할수있다.

                  질소는 미생물의 몸을 이루는 주성분이고,탄소는 살아가고 활동하는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유기물의 분해가 끝나 미생물

                  이 사멸된후 비로소 몸을 이루고 있던 질소성분이 식물체로 양분공급이된다.

 

네이버에 조사한 내용을 정리했다.

방선균
[菌絲][명사] [식물] 균류의 몸을 이루는 섬세한 실 모양의 세포. 또는 그런 세포로 된 열(列 ). 흰색으로 엽록소가 없으며 종(種)에 따라 일정한 모양으로 가지 나누기를 하거나 모여서 자실체를 만든다
[絲狀菌類][명사] [식물] 진균류의 한 무리. 실 모양의 균사를 가졌으며 흔히 곰팡이라고 이른다.
[眞菌類][명사] [식물] 균류의 한 문(門). 보통 세균류와 점균류를 제외한 세균을 통틀어 이르나 격막이 있는 고등 균류를 이르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자낭균류와 담자균류로 나눈다. 몸이 균사로 되어 있고 엽록소가 없어 기생 또는 부생 생활을 하여 포자나 영양 생식으로 번식한다.
[粘菌類][명사] [식물] 균류의 한 문. 몸은 세포벽이 없는 원형질 덩어리로 된 변형체로 운동성이 있다. 다소 습한 곳이나 고목(古木) 따위에 부생하면서 세균이나 곰팡이의 홀씨를 먹이로 하며 홀씨로 번식한다.
홀씨

 

[子囊菌類][명사] [생물] 진균류의 한 아문. 홀씨를 형성하는 기관의 모양이 자루처럼 생긴 곰팡이 무리의 하나로, 비교적 진화한 균류에 해당한다. 담자균류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자낭 속에서 포자를 만드는 균류()의 통틀어 일컬음. 곧 자낭으로 번식()하는 균류(). 유성() 생식()을 할 때에, 양성의 균체()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져, 그 결과(), 자낭이 생기게 되며, 그속에 보통() 8개의 자낭 포자가 들어 있음. 효모균(), 누룩곰팡이ㆍ푸른곰팡이 따위. 털곰팡이 낭자균()
 
균류
담자균
- ]
 진균류에 속하는 한 강(綱). 자실체(子實體), 즉 버섯 끝에 담자병(擔子柄)이 생기고, 이 위에 통상 4개의 담자포자(擔子胞子)를 형성하는 유성생식을 한다. 대부분이 대형의 자실체를 형성하지만, 깜부기병균이나 녹병균과 같이 버섯을 형성하지 않는 것도 있다. 전세계에 약 1만 5,000종이 알려져 있는데, 싸리· 송이· 표고· 느타리· 목이 등 일반적으로 버섯이라고 부르는 균류의 거의 전부와 깜부기병균· 녹병균 등이 이에 속한다.

조균류[藻菌類 / Phycomycetes]

엽록소가 없어서 다른 생물이나 사체에 기생하는 균사체.

[특징] 몸이 균사(팡이실)로 되어 있으나, 균사에 격벽이 없어 진균식물과 구분된다. 균사는 거미줄 모양이고 무색이다. 메주의 갈라진 틈 속을 보면 하얀 솜 같은 것이 보이는 데 이것이 균사이다. 보통은 빵이나 음식물, 동식물의 사체(죽은 생물체)에 붙어서 살지만, 물곰팡이와 같이 물속에서 생활하는 것도 있다. 조균식물은 포자나 유주자를 만들어 번식하며, 약 1500종의 조균식물이 알려져 있다.

[물곰팡이] 물곰팡이는 물속의 식물이나 곤충, 그 밖에 동물의 사체에 붙어사는 조균류의 한 종류로, 때때로 살아 있는 금붕어나 개구리 따위에 기생하여 숙주(기생당하는 생물)를 죽게 하는 경우가 있다. 죽은 파리를 연못물이 들어 있는 비커 속에 넣어 두면 며칠 후 파리 주변에 흰 거미줄 모양의 균사가 생긴다. 이것을 현미경으로 보면 편모가 두 개 달린 유주자가 물속을 헤엄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털곰팡이] 털곰팡이는 오래 된 빵이나 음식물의 표면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현미경으로 보면 균사가 잘 관찰되며, 포자낭과 포자도 볼 수 있다.

[곰팡이의 관찰] 포자는 균사의 끝에 생기는 데, 곰팡이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즉 푸른곰팡이는 빗자루 모양이고, 누룩곰팡이는 부채살 모양으로 포자가 붙어 있으며, 털곰팡이나 거미줄곰팡이는 공 모양의 포자낭에 포자가 들어 있다. 균사는 무색의 실 모양이며, 균사가 모여 곰팡이가 된다. 곰팡이의 색깔은 포자의 색깔에 의해 결정된다. 푸른곰팡이가 푸르게 보이는 것은 포자가 푸르기 때문이다.

[地衣類]

[명사] [식물] 은화식물의 하나. 균류와 조류의 공생체로 균류는 조류를 싸서 보호하고 수분을 공급하며, 조류는 동화 작용을 하여 양분을 균류에 공급한다. 나무껍질이나 바위에 붙어서 자라는데 열대, 온대, 남북 양극으로부터 고산 지대까지 널리 분포한다.

[藻類]
[명사] [식물] 하등 은화식물의 한 무리. 물속에 살면서 엽록소로 동화 작용을 한다. 뿌리, 줄기, 잎이 구별되지 않고 포자에 의하여 번식하며 꽃이 피지 않는다.
 
양치식물[-物]
선태식물
 -